본문 바로가기

풍경3161

애월 2021. 6. 4.
구엄리 돌염전 제주공항에서 서쪽으로 약 15km 떨어진 해안이다. 공항로를 따라 가다가 신제주입구에서 우회전하여 800m를 간 후 신광사거리에서 한림~하귀 방면으로 우회전 한다. 여기서 1132번 일주서로(西路)를 타고 9km를 간 후 가문동 입구에서 해안도로 방면으로 빠져나가 애월로를 따라 3km 정도 가면 구엄리 포구에 도착한다. 구엄리~중엄리~신엄리 일대 해안은 제4기 초기에 분출된 신엄리현무암으로 덮여있다(박기화 외, 1998). 신엄리현무암은 암회색이고 암석 표면에서 4~5cm 크기의 장석 결정이 관찰되거나 장석 결정과 함께 어두운 색깔의 휘석 결정이 세립 반정으로 나타난다. 구엄리 포구 동측 방파제 부근에서는 결정 크기가 약 2~7mm 정도의 장석 반정이 표면에서 다량으로 관찰되는 현무암이 분포하기도 한다... 2021. 6. 4.
두모악갤러리 2021. 6. 4.
두모악 2021. 6. 4.
두모악 무인카페 2021. 6. 4.
하도마을 2021. 6. 4.
지미봉이 보이는 하도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구좌읍 종달리에 위치한 측화산이다(고도:164m). 말굽형 분화구를 지니고 있는 화산체로 분화구는 북쪽을 향해 벌어져 있다. 화구가 벌어진 안부 안쪽에는 숲이 울창하며 서사면과 남사면에는 해송이 조림되어 있다. 정상에는 봉수가 있었는데, 북쪽으로 왕가봉수, 남쪽으로 성산봉수와 교신했다. 『세종실록지리지』(제주)와 『신증동국여지승람』(제주)에 '지말산(只末山)'이라 표기했다. 『탐라지』(제주)에 '지미산(指尾山)'이라 기재했고, "정의현 동쪽 35리에 있다."라고 했다. 『지영록』에 '지미봉(指尾峰)', 『대동지지』에 '지미산(指尾山)', 『탐라순력도』(한라장촉)에 '지미망(指尾望)', 『탐라지도병서』와 『제주삼읍총도』에 '지미봉(指尾烽)', 『제주군읍지』의 「제주지도」에 '지미봉(地.. 2021. 6. 4.
함덕 2021. 6. 4.
서빈백사 2021. 6. 4.
우도 물빛이 유난히도 아름답던 서빈백사 순간포착 "또 다른 세상을 만날땐 잠시 꺼두셔도 좋습니다" 오래전 한 통신사의 광고문구가 생각나던 순간 이었다. 2021. 6. 4.
하도리마을 2021. 6. 4.
하도리 2021. 6. 4.